SSH - Root 로그인과 비밀번호 인증 설정
·
Linux
쉘 접속 명령어ssh 사용자이름@IP주소: 사용자 직접 기본 접속.ssh -l 사용자이름 IP주소: 사용자 이름 지정해서 접속.ssh -p 포트번호 root@IP주소: 특정 포트로 접속.ssh -i 경로/키파일 root@IP주소: SSH 키 파일로 접속.  Root 로그인과 비밀번호 로그인 허용 이유Root 로그인 허용: root 로그인을 이용하지 않으면 서버의 sudo 권한을 부여받더라도 명령어를 수행할 때마다 sudo를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음.비밀번호 인증 허용: pem 키를 사용해서 로그인을 할 경우, 관리자는 매일 각 서버의 pem 키가 저장된 디렉터리에서 원격 서버에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. pem 키를 이용하면 관리자는 직접 패스워드로 로그인해서 필요한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음...
SSH - SSH 동작 원리
·
Linux
Linux란?운영체제(Operating System, OS): PC의 하드웨어 리소스(CPU, 메모리, 스토리지)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리눅스(Linux): 오픈소스 운영체제 (≒ 커널). 하드웨어 리소스(CPU, 메모리, 스토리지)를 관리Linux의 특징오픈 소스: 소스 코드를 공개해서 무료 이용, 수정, 배포 가능멀티 유저: 하나의 PC에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각각의 계정을 가지고 접속 가능멀티 태스킹: 하나의 PC에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실행 가능 SSH란?SSH: 원격 서버에 암호화 접속하고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.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호 (기본 포트 번호: 22)SSHD(SSH Daemon): 원격 서버에 SSH 프로토콜 접속하기 위한 프로세스(프로그램..
로컬에 있는 .pem 키 서버에 전송
·
Linux/Bastion Host
필요 개념Bastion Host: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서 게이트 역할을 하는 호스트scp: 'SecureCopy'의 약자로 ssh 원격 접속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원격 서버 간 파일, 디렉터리를 전송VM에 첫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.pem key 인증 파일이 필요함Bastion Host → Private Subnet의 호스트에 첫 접속하려면, 해당 호스트의 .pem 키 파일를 배스천 호스트에 저장해야 함 .pem 키 배스천 호스트에 전송권한 설정1. AWS 보안 정책에 따라 400 또는 600 권한 설정하여 키의 보안 유지chmod 400 [private_key_name].pem 2. 로컬 → 원격 서버로 키 복사scp /[local_path]/[key_name].pem [username]@[s..